산사태 Layer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합니다.
2022.11.13 - [QGIS] - [QGIS] 산사태 데이터 표시하기
[QGIS] 산사태 데이터 표시하기
산림공간정보 서비스 사이트에서 좌특 상단의 무료신청 선택합니다. https://map.forest.go.kr/forest/#none 산사태위험지도 를 선택하고 다음 주소를 검색하여 선택 후에 신청 목적과 황용용도 및 신청사
kjun.kr
산사태 위험도의 각 경계선을 그리기 위해선 산사태 Layer를 레스터 > 변환 > 폴리곤화 해야합니다.
폴리곤화를 하면 아래처럼 경계선이 그려지며 각 위험도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하면 아래처럼 화면에 표시됩니다.
이제 위 내용을 조판을 이용해 범례 및 방위, 축적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.
프로젝트 > 새 인쇄 조판을 클릭하여 이름을 지정하면 조판 화면이 표시됩니다.
1. 지도 추가
항목 추가 > 지도 추가를 하고 드래그 하여 영역을 잡아주면 QGIS에 보였던 지도가 추가됩니다.
2. 축적 추가
항목 추가 > 축척 막대 추가를 하고 화면에 드레그를 하면 해당 영역에 축적 막대가 표시됩니다.
축적 막대를 선택하면 우측에 축적막대 속성이 나타납니다.
- 스타일을 변경하여 막대 표시를 바꾸고
- 선분에서 왼쪽 숫자를 올리면 좌측으로 오른쪽 숫자를 올리면 우측으로 축적 데이터가 늘어납니다.
- 고정 너비에서 50m 단위로 변경합니다.
- 디스플레이에서 수직 라벨 배치를 선분 아래로 하여 막대 아래로 숫자가 표시되게 합니다.
- 프레임과 배경을 체크하면 외곽선과 배경색이 그려집니다.
위 작업을 모두 마치면 아래처럼 축적 막대가 표시됩니다.
3. 방위 추가
항목 추가 > 방위표 추가를 하여 드래그 하면 방위표가 추가되는데 모양은 방위표 선택 후 우측 속성에서 SVG 이미지를 바꿔주면 됩니다.
4. 범례 표시
항목 추가 > 범례 추가를 하여 드래그 하게 되면 모든 Layer 가 나오게 되는데
자동갱신 체크를 해제하고 산사태만 남깁니다. 그리고 아래 연필 버튼으로 내용을 수정합니다.
위 내용을 모두 처리하고 위치를 잡아주면 아래처럼 조판이 완성됩니다.
(*대상지 범례 추가됨)
'QG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QGIS] 수치지질도 표시하기 (0) | 2022.11.30 |
---|---|
[QGIS] 지오빅데이터 에서 수치지질도 다운로드 하기 (0) | 2022.11.30 |
[QGIS] DEM 파일 이용한 등고선 표시 및 라인/라벨 처리(Contours) (0) | 2022.11.28 |
[QGIS] 수치지도 등고선 수치표시 및 라인 굵게 표시하기 (Contours Labels) (0) | 2022.11.28 |
[QGIS] Flow Directions 화살표로 표시하기 (ARROW) (0) | 2022.11.25 |
댓글을 달아 주세요